-
목차
왜 '서울형 보육서비스'가 중요한가?
맞벌이 가정의 증가, 저출생 위기, 영유아 돌봄의 사각지대.
서울시는 이런 현실을 반영해 2025년 보육정책을 전면 업그레이드했습니다. 단순히 아이를 맡기는 곳이 아닌, 아이의 발달과 건강, 부모의 안심을 위한 전방위 보육지원체계가 만들어진 것입니다.
🔍 핵심 정책 요약
정책 구분주요 내용긴급·틈새보육 확대 야간, 주말, 시간제 보육 강화 교사 대 아동비율 개선 더 촘촘한 돌봄 가능 발달 및 건강 지원 무료 발달검사, 방문간호사 도입 모아어린이집 확대 공동체 기반 돌봄 서비스 1. 서울형 긴급·틈새보육, 언제든 맡길 수 있다!
2025년에는 특히 부모의 다양한 일정과 긴급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보육 시간을 유연하게 설계했습니다.
📌 거점형 야간보육 어린이집
- 대상: 모든 미취학 영유아
- 시간: 평일 오후 4시~10시
- 운영 방식: 보육 종료 후 교직원이 인솔해 거점 어린이집으로 이동
✅ 330개소 운영으로 확장!
"퇴근 후 아이를 픽업하는 조급함이 줄어들고, 저녁 식사까지 해결되니 안심돼요."
– 어린이집 재원 부모📌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
- 누구나 시간 단위로 돌봄 가능
- 타원 재원 아동도 이용 가능
- 2025년 기준 17개소 → 연내 25개 자치구로 확대 예정
📌 365열린어린이집
- 운영 시간: 오전 7시 30분 ~ 익일 오전 7시 30분 (24시간)
- 총 14개소 운영
- 24시간 상시 보육, 야간 근무자, 응급 상황 시 유용
📌 주말 어린이집
- 운영 시간: 토·일요일 오전 9시~오후 6시
- 총 10개소 운영
- 주말 업무, 외출, 병원 방문 시도 걱정 없이 이용 가능
2.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더 안전한 보육환경
서울시는 교사 1명이 맡는 아동 수를 줄이기 위해 보육료를 추가 지원하는 정책을 시행 중입니다.
연령대기존 비율개선 비율0세 1:3 → 1:2 1세 1:5 → 1:4 등 - 2025년 기준: 1,500개 반 운영 (전년 대비 254개 반 추가 선정)
- 교사와 아이의 접촉 시간 증가 → 애착 형성 및 안전성 강화
“1:3일 땐 불안했는데 1:2가 되니 알림장 사진에서도 선생님이 자주 손잡아주고 있어요.”
– 어린이집 재원 부모
3. 발달·건강 관리까지 잡았다! 서울아이발달지원센터
육아에서 가장 중요한 건, 아이가 잘 자라고 있는지 체크하는 일입니다.
✅ 무료 발달검사 서비스
- 1~2세 대상 ‘찾아가는 발달검사’ 시범 운영
- 36개월~취학 전 아동은 온라인 스크리닝 검사 신규 도입
- 발달상 문제 조기 발견 및 전문가 상담 가능
“코로나 시기에 태어난 아이라 발달이 걱정됐는데, 선별검사 받고 상담하니 마음이 놓여요.”
– 부모 인터뷰✅ 방문간호사 건강 서비스
- 어린이집에 간호사 방문
- 감염성 질환 예방, 신체 이상 조기 발견
- 2024년 기준: 3,000건 이상 건강문제 조기 발견
4.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상생과 공동체 돌봄
서울시는 입소 대기문제와 서비스 품질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모아어린이집 모델을 도입했습니다.
- 국공립, 민간, 가정 등 다양한 어린이집이 공동 운영
- 프로그램 공동 개발, 물품 공동 구매, 입소 대기자 조정 등
- 2025년 기준 100개 공동체 확대
✅ 공동 프로그램 활동 예시
- 문화체험, 바자회, 가족운동회 등
- 지역사회 중심 육아 공동체 형성
부모님이 꼭 알아야 할 이용 정보
💡 이용 방법
- 서울시 보육포털(https://iseoul.seoul.go.kr/childcare)에서 예약 및 정보 확인
- 긴급보육은 전화 상담 또는 온라인 신청 가능
- 서울아이발달지원센터 → 신청 어린이집 대상 검사 제공
📞 문의처
- 다산콜센터 02-120
아이 키우기 좋은 '보육특별시'를 향해
서울시는 단순한 보육이 아닌, 신뢰할 수 있는 육아 파트너로서 기능하는 도시를 만들고 있습니다.
2025년 서울형 보육서비스는 보육의 양과 질을 동시에 개선하며, 부모님의 부담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정책입니다.당신이 안심하고 일할 수 있도록, 아이가 안전하게 자랄 수 있도록
서울은 오늘도 보육정책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리고 있습니다.'정부복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자격부터 신청까지! 주거취약계층 이주지원 총정리” (0) 2025.04.15 2025년 4월, 중장년을 위한 채용설명회 총정리! 40~64세라면 지금이 기회입니다 (0) 2025.04.03 이사 비용 걱정 끝! 서울 청년을 위한 최대 40만 원 지원 정책 총정리 (0) 2025.04.01 최대 360만원까지! 소상공인 아이돌봄서비스 확대 지원…가사지원 포함, 기준 완화로 수혜 폭 넓어진다 (0) 2025.03.31 2025년 '미리내집' 정책 완벽 해부: 지원 대상과 신청 방법 총정리 (0)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