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저소득층을 위한 안전한 전셋집 이주, 정부가 도와드립니다!
Ⅰ. 정책 개요 – 왜 이주지원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이 필요한가요?
쪽방, 고시원, 비닐하우스처럼 주거 기준에 못 미치는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다면, 더 이상 그곳에 머물 필요가 없습니다.
**‘주거취약계층 이주지원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은 정부가 마련한 저소득층 주거안정 지원 정책입니다.
주거환경이 위험하거나 위생 상태가 나쁜 곳에서 살고 있는 무주택자에게,
전세 보증금을 무이자 또는 저금리로 대출해주는 제도입니다.
Ⅱ. 신청 대상 – 내가 받을 수 있을까?
✅ 기본 조건
- 무주택 세대주
-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 순자산 3억 3,700만 원 이하
- 신용불량이 아닌 자
✅ 주거환경 요건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3개월 이상 거주 중이면 신청 가능:
- 쪽방, 고시원, 여인숙, 비닐하우스, 컨테이너
- 노숙인 시설, PC방, 주택이 아닌 곳
- 또는 최저주거기준 미달 주택 + 18세 미만 아동 동거 세대
Ⅲ. 대출 조건 – 얼마나 받을 수 있고, 이자는?
구분민간임대 이주공공임대 이주대출한도 최대 8천만 원 최대 50만 원 금리 0% (5천만 원까지), 초과분 1.2~1.8% 0% (전액 무이자) 이용 기간 2년씩 연장 가능, 최대 10년 최대 20년 핵심 포인트:
- 보증금 5천만 원까지 무이자
- 보증금 2억 원 이하 주택만 가능
- 전세보증금의 80%까지 대출, 조건 충족 시 100% 가능
Ⅳ. 신청 방법 – 어떻게 신청하나요?
STEP 1. 자격 확인 및 상담
- 마이홈 콜센터(1600-1004) 또는 주민센터, LH 주거복지센터 상담
STEP 2. 주거취약 확인서 발급
- 주민센터에 신청 → 열악한 주거 확인 후 발급
STEP 3. 전세계약 체결
- 계약금 5% 이상 납부 후 계약서 준비
STEP 4. 서류 준비
-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 임대차 계약서 사본, 소득증빙, 주거상향 확인서
STEP 5. 수탁은행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농협, 하나은행
- 또는 기금e든든 (https://nhuf.molit.go.kr) 접속
STEP 6. 심사 후 대출 실행
- 은행 및 보증기관 심사 → 집주인 계좌로 대출금 입금
Ⅴ. 실제 사례 – 이렇게 바뀔 수 있어요!
사례 ① 고시원에서 원룸으로!
30대 A씨, 고시원 생활 중 본 제도로 6천만 원 전세 원룸으로 이주
5천만 원은 무이자, 나머지 1.2% 저금리 → 이자 월 7천 원 수준!사례 ② 반지하에서 아파트로!
한부모 가정 B씨, 반지하에서 벗어나 LH 공공임대 이주
보증금 200만 원 중 50만 원 대출 + 이사비 40만 원 지원
Ⅵ. 자주 묻는 질문 (FAQ)
Q. 반지하도 지원 대상인가요?
A. 경우에 따라 지자체가 주거취약으로 인정하면 가능합니다. 반드시 상담받으세요.Q. 상환은 어떻게 하나요?
A. 만기일시상환 방식, 무이자 구간은 상환 부담 없습니다.Q. 다른 전세대출과 중복 사용 가능?
A. 불가능합니다. 기존 대출이 있다면 먼저 상환해야 합니다.Q. 이사비 지원은 어떻게 받나요?
A. 이주 후 관련 영수증 제출 → 최대 40만 원 지원 가능
Ⅶ. 활용 팁과 참고 사이트
활용 팁
- 이자 없는 구간이라도 매달 저축 추천
- 지자체의 주거바우처, 이사비 지원 중복 체크
- 무조건 빠르게 계약 X → 조건 충족 확인 후 진행
공식 안내 사이트
👉 주택도시기금 안내 페이지: https://nhuf.molit.go.kr/FP/FP05/FP0502/FP05020101.jsp
👉 마이홈 포털: https://www.myhome.go.kr
새로운 시작, 이젠 정부가 함께합니다
주거취약계층에게 이 제도는 단순한 대출이 아니라, 삶의 질을 바꾸는 기회입니다.
비위생적이고 위험한 주거지에서 벗어나 안전하고 편안한 집으로 옮기는 데 필요한 금액을
무이자 또는 초저금리로 빌릴 수 있다는 것, 이것이 바로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의 힘입니다.지금 바로 자격을 확인하고, 당신의 새로운 보금자리를 준비하세요.
주거안정, 더 이상 꿈이 아닙니다.'정부복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서울형 보육서비스 완벽 가이드 “보육공백 없는 서울, 부모님이 안심하는 하루” (1) 2025.04.04 2025년 4월, 중장년을 위한 채용설명회 총정리! 40~64세라면 지금이 기회입니다 (0) 2025.04.03 이사 비용 걱정 끝! 서울 청년을 위한 최대 40만 원 지원 정책 총정리 (0) 2025.04.01 최대 360만원까지! 소상공인 아이돌봄서비스 확대 지원…가사지원 포함, 기준 완화로 수혜 폭 넓어진다 (0) 2025.03.31 2025년 '미리내집' 정책 완벽 해부: 지원 대상과 신청 방법 총정리 (0) 2025.03.29